펜션 임대차 계약과 해약금으로서의 계약금 반환(2024년 1월 선고판례 해독)

부동산 거래에서 가계약금을 주고받은 후 계약이 무산되면, 많은 분들이 계약금 반환 여부에 대해 혼란을 겪습니다. 특히, 계약이 성립되었는지 여부와 계약금 반환 가능 여부의 문제로 종종 다툼이 벌어집니다. 이번 전주지방법원 선고 2022나12063 사건에서는 펜션 임대차 계약을 진행하려다 계약을 포기한 원고가 계약금 반환을 요구했으나, 법원이 이를 어떻게 판단했는지 다루고 있습니다. 중요한 법적 쟁점과 함께 법원이 계약금에 대해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깊이 있게 분석합니다.

* 이 포스트의 내용은 국가법령정보센터,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등 공인된 미디어의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일부 내용에서 뉘앙스 차이나 오류 등이 있을 수 있으니 해당 사건의 판결 원문을 확안하시기를 바라며, 여러분이 당한 이슈에 있어서 필요시 법률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계약금 반환 포스트 메인 그림
( 출처: flickr_Mun Seop Jeong_가평 메종드파티오 펜션 )

사건 개요

원고와 피고의 주장 요약

  • 원고(A): 경상도에서 펜션을 임대하여 운영하려던 원고는 피고의 계좌로 1,000만 원을 가계약금으로 송금했습니다. 이후 건강 문제(혈액암 진단)를 알게 되어 계약을 진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계약을 취소하고 가계약금 반환을 요청했습니다. 원고는 계약서 작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계약이 성립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 피고(B): 피고는 펜션 임대차 계약의 중요한 사항들(보증금 1억 5,000만 원, 연 차임 8,000만 원)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고, 원고가 1,000만 원을 ‘펜션 계약금’으로 입금했으므로 계약이 성립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피고는 이미 원고에게 펜션을 넘기기 위해 제3자와의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음을 근거로 들어 계약 성립을 뒷받침했습니다. 따라서 계약금 반환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피고가 주장한 제3자와의 주택 임대차 계약은 원고에게 펜션을 넘기기 위한 준비 과정에서 이루어진 일입니다. 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고는 원고와의 임대차 계약이 성립되었다고 믿고, 펜션을 원고에게 인도하기 위해 피고가 직접 거주 중이던 펜션을 제3자에게 넘길 준비를 했습니다. 이를 위해 피고는 제3자인 G와 새로운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것입니다.

즉, 피고는 펜션을 원고에게 인도하기 위해 자신이 거주하던 주택을 제3자에게 임대하기로 하고, 잔금을 치르기로 약속한 날도 정해두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피고가 원고와의 펜션 임대차 계약이 성립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으로, 피고는 이를 계약 성립의 근거로 들며 주장한 것입니다.

따라서 피고의 입장에서는 이미 원고와의 계약이 사실상 성립되었으므로, 원고가 계약을 취소할 수 없고 계약금 반환 의무도 없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날짜별 사실관계

  • 2021년 11월 26일: 원고는 피고의 펜션 임대차 조건을 공인중개사를 통해 전달받고 검토 시작.
  • 2021년 12월 3일: 원고의 배우자 D가 펜션을 직접 방문해 상태 확인.
  • 2021년 12월 4일: 원고가 피고에게 1,000만 원을 송금하며 ‘펜션 계약금’이라고 표시.
  • 2021년 12월 5일: 원고가 혈액암 진단을 받아 계약 진행이 어려움을 깨닫고 계약 포기 결정.
  • 2021년 12월 6일: 원고는 피고에게 계약 체결 의사가 없음을 통보하고, 계약금 반환을 요청.

펜션 계약금 반환 사건 쟁점

1. 계약 성립 여부

원고와 피고는 계약서 작성 이전에 가계약금이 오갔습니다. 가장 큰 쟁점은 계약이 서면 계약서 없이도 성립되었는지 여부였습니다. 원고는 계약서 작성 전 단계였으므로 계약이 성립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피고는 계약금이 지급되었고 중요한 계약 조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므로 계약이 성립되었다고 반박했습니다.

2. 계약금 반환 여부

두 번째 쟁점은 민법 제565조에서 다루는 계약금 반환 문제입니다. 계약금은 단순히 계약 성립의 보증금이 아닌, 계약 불이행 시 상호 간에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해약금” 성격을 가집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가 계약금 반환을 요구했으나, 피고는 계약이 이미 성립되었으므로 반환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임대차 계약의 성립 여부

비록 서면 계약서가 작성되지 않았으나, 원고가 피고에게 계약금 1,000만 원을 송금한 사실펜션 임대차의 중요한 사항(보증금과 차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계약은 이미 성립된 것으로 보았습니다. 특히 피고가 펜션을 인도하기 위해 제3자와의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점도 계약 성립을 인정하는 근거로 작용했습니다. 즉, 서면 계약서가 없더라도, 당사자 간에 계약금 지급과 주요 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면 계약은 성립된다고 판단했습니다.

2. 계약금 반환 문제

법원은 계약금이 민법 제565조에 따른 해약금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법 조항에 따르면, 계약금이 지급된 경우 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보고, 계약을 해제하려는 당사자는 계약금을 포기해야 합니다. 따라서 원고가 계약금을 포기함으로써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원고가 계약을 포기한 만큼 피고는 계약금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적 근거

  • 민법 제565조(해약금에 의한 해제): 계약금이 지급된 경우, 계약 당사자는 이행에 착수하기 전까지 계약금을 포기하거나, 수령자는 그 배액을 상환하여 계약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 조항은 계약금이 단순한 보증금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해약 의사를 표시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규정합니다.

사건의 의미와 영향

이 사건은 계약금의 법적 성격임대차 계약 성립 요건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서면 계약서가 작성되지 않았더라도 계약금이 지급되고 주요 계약 조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면, 계약은 성립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는 부동산 계약을 준비하는 당사자들에게 중요한 경고가 됩니다. 계약금은 계약 성립의 보증금일 뿐만 아니라,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해약금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결론 및 조언

부동산 거래에서 계약금은 단순한 보증금이 아니라, 계약의 성립과 해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번 사건에서 보듯, 가계약금이 지급되고 중요한 계약 조건에 대한 합의가 있었다면 서면 계약서 없이도 계약은 성립될 수 있습니다. 계약을 포기하고 싶다면, 계약금을 포기해야 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용어 해석

가계약금: 정식 계약 전에 거래 의사를 표시하고 우선권을 확보하기 위해 지급되는 금액. 그러나 이 사건에서처럼 중요한 계약 조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가계약금도 정식 계약금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해약금: 민법 제565조에 따른 개념으로, 계약을 해제하려는 당사자가 포기하거나 상대방이 그 배액을 상환해야 하는 금전입니다. 일반적인 계약금과 달리,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합니다.

#관련 법조항

민법 제565조(해약금) 
① 매매의 당사자일방이 계약당시에 금전 기타 물건을 계약금, 보증금등의 명목으로 상대방에게 교부한 때에는 당사자간에 다른 약정이 없는 한 당사자의 일방이 이행에 착수할 때까지 교부자는 이를 포기하고 수령자는 그 배액을 상환하여 매매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② 제551조의 규정은 전항의 경우에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대한민국 법원 종합법률정보

Similar Posts